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Jenkins

(2)
[DevOps] EKS 환경에서 Helm으로 Jenkins 안전하게 구축하기 1. 개요AWS 환경에서 Jenkins를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싶다면 Helm으로 Jenkins를 설치하는 것이 정신 건강상 좋다고 본다. 왜냐하면 EC2 환경에서의 Agent 연결하는 방식과 다르게 Controller와 Agent를 단순 values.yaml 파일만 가지고 분리하는 것도 굉장히 쉽고 Controller를 재시작해도 EBS Volume을 붙여둔다면 안전하게 재시작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의 내용들을 고려하여 작업한다고 가정한다. - Agent, Controller의 분리- Controller를 자유롭게 재시작할 수 있도록 EBS Volume 붙이기- docker 명령어를 agent pod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모니터링을 수월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참괴 : 이 글..
[CICD] Terraform을 통한 AWS 3 Tier 구성 및 CI/CD 파이프라인 배포 #5 - CodeDeploy를 통한 ASG Blue-Green 배포 #4에서 S3로 zip 파일이 업로도된 것을 확인하였다. CodeDeploy를 통한 war 파일 배포 Tomcat Server에서 S3에 있는 파일을 가져오기 위해 IAM Instance Profile이 해당 WAS EC2에 Attach되어 있어야 한다. 아래의 EC2 Metadata로 잘 붙어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 CodeDeploy Agent 설치 #!/bin/bash sudo yum -y install ruby sudo yum -y install wget cd /home/ec2-user sudo wget https://aws-codedeploy-ap-northeast-2.s3.ap-northeast-2.amazonaws.com/latest/install sudo chmod +x ./instal..

반응형